작업치료 - 뇌졸중/뇌졸중 종류와 증상

지각 문제 - 실행증 Apraxia 재활 치료 접근 방법

movingNow 2021. 12. 14. 20:07

 

Constructional 구성실행증 : 그림/모방하여 그리기, 이차원과 삼차원의 디자인 조합이 어렵다는 특징도 있음

실행증 Apraxia  증상

 - 움직임 시작/개시 문제, 어려움

 - 올바른 순서로 수행 못함

 - 구두/단서 없이 수행 어려움

 - 익숙한 경우에만 수행

 - 주저함(지제함)과 보속증

 - 과제에 적절히 위치 잡지 못함 (변기 앞에서 위치 전 앉으려 한다 등)

 

실행증 Apraxia  평가 

    - LOCTA 로카 운동모방- 따라하세요(Motor imitation)

                       물체활용 - 가위 빗 봉투 봉이 등 "어떻게 쓰는지 보여주세요"

                                      (Utilization of object)

                       상징행동(symbolic action) - 칼로 빵 어떻게 쓰냐요, 보고 포괄적으로 평가

 

    - Ray Complex Figure 같은 디자인

    - 꽃/시계/사람 등 그림

    - 나무 토막 배열 및 3차원 블록 디자인 활동(기억하여 조립/복제 조립)

    - Benton의 3차원 구성실행검사 - 그림보고 모방하기, 시범 후 사용한 블록은 상자에 담기

                                                이후 모방하여 쌓는다. 

    

 

 - 실행증은 치료실에서 못하지만 집에서 가능하거나, 그 반대인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

 

 

실행증 재활치료 접근 방법 

   - 전이는 어려우며, 보호자 교육이 중요 . 일상생활능력이 실제로 좋아졌는지는 관찰못함

      보호자와의 일상생활 인터뷰 검사에서는 치료 효과 보임

 

   - 실행증은 치료 하지 않음. 왜냐면 1. 처음 몇 달 동안 발병 이후 자연스럽게 개선되므로

     2. 지시한 것에 실행은 못하지만, 집과 같은 익숙한 환경에서는 자동적으로 동작 나와서 

       가능한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므로. 

 

 1. Errorless Learning 실수 최소화하여 실수학습을 방지

   - 실수에 대한 학습을 방지하여 혼란 줄이고 성공을 증진

 

    방법 1) Hand over Hand 환자 손 잡고 신체적으로 도움 주기

           2) Cueing  주로 청각정보, 언어 지시 활용  따라해보세요. 

           3) Demonstration 시범

 

 

 2. Gesture Training  동작에 대해 재인식 시키는 법 

     1) Transsitive gesture training 

            1) 도구 사용 법을 보여준다 ("이것을 사용하는 법을 보여주세요")

            2) 도구 사용하는 동작 그림을 보여준다. 똑같이 흉내내보라고 한다

              ("이 사진처럼 양치질 할 수 있을까요?")

            3) 도구 사진을 보여준다. 어떻게 사용하는 흉내 내보라고 한다.

                ("어떻게 사용하는건가요?"-칫솔사진)

 

    

     2) Intransitive - symbolic (meaningful) gesture training

            1) 샌드위치 먹는 동작 사진 보여줌

            2) 그림만 제시, 올바른 동작을 만들어보라고 한다. ("먹는 동작을 흉내내보세요")

            3) 이전과 비슷한 새로운 그림 보여주고 동작을 만들어보라고 한다.

               ("이번에는 이런 그림의 샌드위치 먹는 동작을 흉내내보세요")

 

     3) Intransitive-nonsymbolic(meaningless) gesture training

           12개의 의미엇는 동작을 검사자의 흉내를 따라 흉내내기 

 

 

 3. Strategy Training 보상전략 ADL trining

   - 내적 전략 : self verbalization 자기언어화, 사진

   - 외적 전략 : 신체/청각/시각적 도움 (단어,사진)

 

 

 

4. 기타

   - 관념 운동 실행증 - 대근육활동/운동패턴 영향위해 촉각/고유수용/운동감각 사용하기

                            - Affolter 접근으로 촉각 운동 경험

                            - 후방 연쇄 기술(Backward Chaining)

                                앞 부분만 돕고 뒤는 환자 스스로함. 수행 시 마지막 앞단계로 늘림

                            - 수행 전 움직임 상상, 훈련과정을 나누어 가르치기

                            - 몸짓훈련

                               - 타동적 몸짓(물건수반)

                               - 자동적 상징적 몸짓 (작별인사 손 흔들기)  

                               - 자동의 비상징적 몸짓 (당신의 손을 턱 아래로)

 

 - 구성 실행증

     교정적 접근 : 블록, 퍼즐, 후방연쇄기술, 아폴더(affolter)접근법으로 손으로 3차원 물체 탐색

                       그리기 블록 등은 전이 효과는 없음. 

                       기능적 수행은 반복 연습,   단순 > 복잡

     보상적 접근 : 조리순서 표시, 수행능력에 영향 미치는 변수를 조절(역동적 상호작용 접근)

     

 - 착의 실행증

     교정적 : 옷입기 패턴 교육, 시범, 손잡고 가이드, 후방연쇄, 단계별 입는 단계 말하기 등 

                인지적 단서 제공

 

                언어 - 순서화에 도움, 보속증에 감소 , 할 것과 하고 있는 것을 말하게 유도

                         "나는 ~를 했고, 지금은 ~ 할 거다"

 

     보상적 : 입는 순서 카드, 보고 입기, 

                 역동적 상호작용 = 다양한 방법, 환경에서 옷입기 시도, 적절한 것 찾아 수행

                 피드백 - 환자가 결과를 평가하도록 장려

                 환자 앞 거울 - 환자가 수행 문제를 모를 시 말로도 설명

 

                 연속과제 피하기, 요구동작을 단순화(서툴 시에), 위험한 도구 접근을 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