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치료 - 뇌졸중

뇌졸중 작업치료 지침 가이드라인(AOTA) 2015기준

movingNow 2021. 12. 12. 13:51

 * 2018년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오프라인 교육 이수한 내용으로 복습을 위해 작성함

   18년도 자료라는 것을 감안하고 보시길 바람

 

뇌졸중 가이드라인 - OT practice guidelines for adults with stroke(2015) : AOTA

 

 

1. Cognitive impariment 

    인지 + 시공간 공간 훈련 >> 근거 수준 good,  moderate evidence supprot 

    General cognitive rehab and visuospatial training 

 

   인지와 지각 손상 클라이언트의 개별화된 가정 재활 프로그램 >> 근거 불충분

  individualized home rehabilitation program for client with cognitive and perceptual imopairements

           > insufficient evidence  

    * 단, 밑 ADL 수행기술 증진 위해 home-based 사용은 >> strong evidence

 

    (가상현실 VR을 배운 사람으로서... 그냥 내 의견을 말한다면...

     국내 기업 중, 치매 예방/재활 VR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해서 보건소에서도 활용하고 있고 

     손 기능 ROM평가와 가상 재활치료실 만드는 회사를 알고 있는데 작업치료사 없이

     과연 가상에서 손만 보고 평가하고 치료하는게 가능한가? 싶음)

 

 

 

 

 

2. Executive dysfunction

    시간 압박치료(TPM Time pressure managemnet) -심리학 행동 정신과에서 사용

     >> 근거 수준 good, moderate evidence support

   

     아래 논문 보면 다음과 같이 하는 것으로 보임

       1. 할일이 2가지 이상인가, 동시에 할 것인가?

       2. 일을 어떻게 할 것인지 게획 세우기 > 시간방지를 위해 압박을 준다

       3. 예상치 못한 일에 대해 비상계획 세워보기  

       4. 그리고 실행해보기  > 자기 자신을 모니터링 해본다.

    https://www.archives-pmr.org/article/S0003-9993(09)00395-5/fulltext 

  

    Use of Vamll ( a virtual supermarket)

     >> 근거 수준 부족 limited evidence   (단 밑의 IADL위해 Virtual reality는 improve IADL)

      

    * 위의 TPM를 VR 가상에서 적용하면 어떨까 싶어짐

  

    * 2015년에 비해 코로나 이후 VR 가상현실 XR 확장현실(홀로렌즈 등)이 활성화 되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실제로 저도 배우면서 제작 했었습니다. 그래서 국내에서 will 말고 VR 콘텐츠 사용하여 MBI, MMSE,

      MFT검사가 어떻게 변화 되었는지 나오는 연구논문이 있습니다. (인원수는 10명)

 

    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024852036461.pdf

      인지기능에 대해 실험군과 대조군의 중재 후를 비교 한 결과, MMSE-K 점수에서 각각 13.0%와 2.3%의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일상생활능력에 대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중재 후 점 수를 비교한 결과 실험군에서 MBI점수가 3.1% 향상되고

     대조군은 6.4% 감소한 결과를 보였다

 

  3. Memory loss

    전산화인지(비급여) : 차팅 시 attention, memeory만 써야한다 >> limited evidence 근거 부족

 

    Ecercise & recreation program : limited evidece 근거 부족 (메모리만 올리기에는 효과 부족)

      * 21년 11월 고령자치매학회 보수교육 들어봤을 때는 치매의 경우 이야기가 다른듯함

        HDL 콜레스테롤이 뇌혈관 속 치매 원인 단백질 분해를 촉진하는데, HDL 높이는 최고의 방법이 운동

        HDL수치 상승은 운동으로 유도 > 높으면 치매/경도인지 위험 감소

 

    Attention occupational performance >> insufficient evidence

 

   4. Visual dysfunction

    Visual field loss, compensatory training >> limited evidence 근거 부족

    Visual Scanning training >> Strong levidence 근거 충분

 

   5. Unilateral Neglect 편측무시

      Prism adaptation 프리즘 안경 - 인지 있는지 확인 하고 사용하기

       - 일방적인 공간 무시의 기능적 측정에 대해 일부 지원

         (some support for functional measure of unilateral spatial neglect)

       - Mixed result

     

        * albert test 시 개수, 어떤 방향으로 찾았는가도 보기 (오>왼쪽으로 찾는다면 문제)

        * visual 힌트, verval cue를 주기

 

      Mirror therapy 

       - 근거 불충분 insufficient evidence , attention이 필요(거울 계속 봐야해서)

       

     Right half-field eye patching (반시야 안대)

       - 논쟁이 있다.

          *2003년 시야가리기 연구 및 설명, 검사지 설명 논문

https://www.earticle.net/ASP/Article/7968Key=lKNVWzkTBe3mZqlRwYmdEA%3D%3D&ReturnUrl=%2FASP%2FArticles%2F48%3FIssue%3D522%26Key%3DlKNVWzkTBe3mZqlRwYmdEA%253D%253D&Mode=Journal 

 

     

   6. Motor impariment

      Task oriented trining (TOT) >> Strong evidence

       - repetivive task  practice (반복적인 과제 연습, RTP)

       - Goal - directed, intensive repetition(집중반복)

       - U/E function, balance, mobility 

 

       - 근긴장도 떨어지거나 grip 15kg,   10kg 나옴 >> 작업과제 수행 질이 다를 수도 같을수도있음

 

 

       Task oriented trining (TOT)  + NDT >> moderate evidence

 

       Task oriented trining (TOT)  + mental practice, virtual reality(전산화 로봇재활),

                                                Mirror therapy, action observation

 

            >> moderate evidence(improveing U/E Function) 

 

 

       Task oriented trining (TOT)  + devices(visual feedback, robotics) 

          >> limited evidence 

 

      mCIMT(2시간가능)  CIMT >> Strong evidence

       - ADL은 양손훈련이 많다. 

 

      Bilateral trining (BT) >> Moderate evidence

       - BATRAC (trunk 지지, 팔 양측 훈련)

 

 

      STengthening and exercise (요가,태극권)>> strong evidence

       - balacen, mobility...

 

      Adjunctive interventions  보조개입 >> limited evidence

      Botox Type A>> limited evidence

 

 

   6. Psychosocial 심리사회학적 / Emotional impairement

 

      Exercise >> limited evidence

      Behavioral 행동 therapy>> Moderate evidence

 

     Coummunity-based therapy>> Moderate evidence

       - 병원 퇴원(hospital discharge) 후 작업 수행기술(occupational performance) 증진 위해

         커뮤니케이션 기반의 재활 중재 사용      요양원, 보건소 

 

 

 

 

   7. ADL performance

 

      입원환자 대상 ADL증가 위핸 작업기반 중재 사용

       >> Moderate evidence

     

       >> 외래환자(outpatient) 는 근거 부족 

 

 

     ADL 수행기술 증진 위해 home-based 사용 

       >> strong evidence    

          *단, 위에서 인지와 지각 손상 클라이언트의 개별화된 가정재활 프로그램 >> 근거 불충분

 

     ADL 수행기술 증진 위해 Community-based 사용 

       >> strong evidence    

 

     IADL 수행기술 증진 위해 Virtual reality system (xbox같은)

       >> improve evidence      (단, 위의 집행기능 Excutive dysfunction 위해 하는건 불충분으로나옴)

 

   

   7. Leisure

      자기 질환 수용이 높은 사람. 병이 다 못 나을 것을 아는 사람 등 

    

   8. Interventions targeting cognitive impairements

      Visual scanning training - cognitive performance 향상

      General Cognitive rehab - global cognitive function 향상

      Visuopsatial trining - cognitive function 향상

 

     Cognitive strategy trining -  수행기술 향상, 훈련되지 않는 작업(untrained task) 향상

 

     Gestur etraining - ideational, ideomotor apraxia 관념/관념운동 실행증 

                            ex. "이것의 사용방법을 보여주세요."  "어떻게 하는건가요?"

 

 

   9. Interventions targeting motor impairements

     앞의 CIMT, Bilateral training(BI),Task practice,mirror therapy >>U/E function, activity향상

     task practice, strengthening , exercise, mental practice  >> balance, mobility 향상

 

  10. Recommendation & implication 

     Behavioral therapy >> 우울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