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치료 접근

작업 정의와 작업치료 실행체계 OTPF-4

movingNow 2021. 12. 9. 15:43

OTPF-2판 공부하며 2015년 졸업하고 17-19년 근무 이후 최근 OTPF-4가 나왔다는 소식 듣고 

임상지침서를 새로 구입해서 보았습니다. 

 

정말 많이 바껴있네요. 2014년 쯤 구입한 임상지침서는 수가/SOAP 작성 내용 이런거 없었는데

이젠 자세하게 되어있는 느낌..

 

코로나라 더 그렇게 바뀐건가...??

 

 

작업 정의

 사람들이 필요로 하고, 원하고, 할 것으로 예상되는 일들을 포함   (할 것으로 예상...고려해야한다...)

 

작업치료 실행체계 OTPF-4 설명

미국작업치료협회 AOTA에서 제작, 작업치료에 대해 명확히 표현해주는 기틀

인간은 자신이 선택하고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함

 

임상에서는 아직 OTPF-3 개념이 적용되어 있음 (책 21.6월 책임)

 

크게 추가/변경된 내용 

 

도메인부분

BADL, IADL의 개인용품관리/ 건강관리 부분이 건강관리 항목으로 아예 빠져나옴

 

              건강관리의 항목        (이건 내가 보건소에서 결핵실 근무하면서 근무한 내용이기도 함)

              의약품관리(의사와 소통, 약국 처방전 제출, 약복용, 다시 약받기) 

              개인돌봄용품관리(기존BADL소속이었으나)

              신체활동/ 영양관리/ 보건의료시스템과 의사소통/증상과 건강관리

              사회적 정서적 건강 증진과 유지(나의 강점과 자산을 파악, 감정관리, 욕구표현, 정체성개발)

 

BADL에서는 OTPF2판 배뇨/배변관리가 빠짐.

                먹기도 삼킴(Swallowing)이 포함되어 삼키기.먹기로 됨

IADL에서는 운전과 지역사회이동(운전,버스,자전거,걷기등) 항목이 포함

사회참여에서는 동료친구 부분이 3가지로 세분화됨(교육관계/파트너관계/또래집단 참여)

 

수행기술도 세부항목 내용은 완전히 바껴있음...

배경의 경우 ICF용어로 통일하여, 4가지 배경과 2개의 환경으로 구분됨

 

프로세스 부분(어떻게 작업치료를 진행?) 에서는 

작업중재 유형에서     작업과 활동을 아예 명확하게 구분됨

작업 : 직접적이고 일상적인 활동, 예) 치매주간보호시설에서 활동프로그램으로 직접 떡볶이를 만듦...

활동 : 수행기술과 패턴 발전을 위해 설계되어진 활동. 종종 작업의 요소가 된다. 

         EX. ADL 훈련실에서 조리기구 다뤄보고 요리 연습하기

 

그리고 교육(치매 가족에게 대처법 교육 등)과 훈련(스킬 숙달...), 집단치료가 포함.